안녕하세요 👋 헬리입니다!
앞에서 1편: Helium10 소개 & 세팅
2025.08.17 - [해외마켓/Helium10] - [Helium10 블로그 1편] 아마존 셀러를 위한 Helium10 계정 연결 & Xray 세팅 완전 가이드
[Helium10 블로그 1편] 아마존 셀러를 위한 Helium10 계정 연결 & Xray 세팅 완전 가이드
안녕하세요 👋이번 시리즈에서는 제가 직접 Helium10을 처음부터 세팅하면서 배우는 과정을 공유하려고 합니다.Helium10은 아마존 셀러/MD라면 익히면 아주 유용한 툴이에요! 경쟁사 분석부터 키워
hayleystorage.com
2편: Black Box + Xray로 제품 찾기를 다뤘었는데요!
2025.08.17 - [해외마켓/Helium10] - [Helium10 블로그 2편] Black Box로 아마존 니치 제품 발굴하기
[Helium10 블로그 2편] Black Box로 아마존 니치 제품 발굴하기
안녕하세요 👋지난 1편에서 Helium10 계정 연결과 Xray 세팅을 완료했다면, 이제 본격적으로 제품 리서치 단계에 들어갑니다. (지난번 1편 - 안보신 분들은 참고 해 주세요! )2025.08.17 - [해외마켓/Heliu
hayleystorage.com
오늘은, Cerebro로 경쟁사 키워드를 찾아보는 작업을 해 보려고 해요 !!
같이 따라해 보면서 아마존 툴 잘 쓸 수 있는 MD가 되어보자구요 😎
아마존에서 잘 팔리는 제품에는 반드시 이유가 있습니다.
그 이유 중 가장 큰 축을 차지하는 것이 바로 검색 키워드 예요.
🌟 소비자가 어떤 단어로 검색하느냐에 따라 노출이 갈리고, 노출이 곧 매출로 연결되니까요.
Helium10의 Cerebro는 이런 “성공한 제품이 어떤 키워드로 팔리고 있는지”를 역으로 추적할 수 있는 툴입니다.
이번 글에서는 Helium10 Cerebro를 활용해 경쟁사 분석 → 키워드 추출 → 우리 제품 전략에 적용까지 단계별로 정리해 드릴게요.
1. Cerebro란 무엇인가?🧐
✔️ 정의: 아마존의 특정 제품(ASIN)에 대해, 실제로 유입·판매에 기여하는 키워드를 역추적해주는 툴
✔️ 목적: 경쟁사가 어떤 키워드로 유입을 받고 있는지 확인 → 우리도 그 키워드를 가져오거나 틈새 키워드 발굴
✔️ 핵심 포인트: 단순히 키워드 나열이 아니라, 검색량 / 경쟁 강도 / 광고 점유율 같은 데이터까지 제공
👉 쉽게 말하면, “경쟁사 매출의 비밀 통로(검색어)”를 열람하는 열쇠예요.
2. Cerebro 시작하기
1. Helium10 대시보드 → Cerebro 이동
2. 경쟁사 ASIN 입력하기
예시: 우리가 스킨케어 마스크를 팔고 싶다면, 이미 잘 팔리는 경쟁사 크림의 ASIN을 아마존에서 복사 → Cerebro에 붙여넣기
분석 실행 → 수천 개의 키워드 결과 제공
• 여기서부터 본격적으로 데이터를 읽어야 합니다.
3. 주요 지표 이해하기
Cerebro는 데이터를 많이 보여주는데, 다 알 필요는 없고 핵심 지표에 집중하면 됩니다.
1. Search Volume (검색량)
• 해당 키워드가 월간 몇 번 검색되는지
• 소비자 수요를 보여주는 지표
2. CPR (Ranking Difficulty, 8-Day Giveaways)
• 특정 키워드에서 1페이지에 오르기 위해 필요한 판매량 예측치
• 현실적으로 진입 가능한 키워드인지 판단 가능
3. Competing Products (경쟁 상품 수)
• 같은 키워드로 노출되는 상품 개수
• 경쟁 강도 파악
4. Sponsored/Organic Rank
• 해당 ASIN이 광고(SP)로 몇 위, 자연검색(Organic)으로 몇 위에 노출되는지
• 광고 의존도가 높은지, 자연 검색으로도 잘 뜨는지 체크 가능
4. Cerebro 활용 단계별 가이드
① 경쟁사 ASIN 여러 개 입력
• 한 개만 보면 한쪽 데이터만 보이니까, 최소 3~5개 경쟁사 ASIN 넣고 교집합 키워드 뽑는 게 좋아요.
👉 “공통으로 매출을 가져오는 핵심 키워드” vs. “특정 브랜드만 잡고 있는 틈새 키워드”를 나눌 수 있음.
② 필터 세팅하기
Cerebro는 결과가 수천 개 나오기 때문에 필터링이 필수예요.
• Search Volume: 1,000 이상
• Competing Products: 20,000 이하
• Organic Rank: 경쟁사 1~20위
👉 이렇게 세팅하면 “실제로 매출에 기여하고 진입 가능성 있는 키워드”만 남깁니다.
③ 키워드 추출 & 그룹화
• 공통 키워드 = 필수로 잡아야 하는 광고 키워드
• 브랜드 특화 키워드 = 우리도 들어갈지 판단
• 롱테일 키워드 = 광고비 적게 쓰면서도 효율 높일 수 있는 부분
④ 경쟁사 광고 전략 확인
• Sponsored Rank가 항상 상위에 있는 키워드는 → “돈을 많이 태우고 있다”는 의미
• Organic Rank도 높으면 → 광고 + SEO가 동시에 잘 잡힌 상태
👉 이걸 그대로 따라 할 필요는 없지만, 우리가 어디에 집중해야 할지 참고 가능
🔎 공통 키워드 (필수 키워드)
- 정의: 경쟁사 여러 개 ASIN이 동시에 상위 노출 중인 키워드 (즉, 시장에서 “핵심 수요”가 있는 단어).
- 찾는 방법: CSV에서 Ranking Competitors (count) 값을 확인 → 경쟁사 3개 이상이 같은 키워드에 1~20위 랭크되어 있으면 공통 키워드로 분류.
- 활용:
PPC 캠페인에서는 무조건 Exact / Phrase로 넣어야 하는 키워드.
리스트 최적화(타이틀, Bullet Point, A+ 콘텐츠)에도 반드시 포함.
🔎 브랜드 특화 키워드
- 정의: 경쟁사 브랜드명 + 특정 제품 속성(ex: “CeraVe hydrating cleanser”) 같이 특정 브랜드에 묶인 키워드.
- 찾는 방법: CSV에서 Keyword에 브랜드명(경쟁사 이름)이 포함된 경우 추출.
- 활용: 무조건 따라갈 필요는 없음.
만약 우리 제품이 경쟁 브랜드와 직접 비교 가능한 USP가 있다면 브랜딩 광고(브랜드 캠페인, Sponsored Brand Ads)에서 활용 가능.
단, CPC가 높거나 전환이 낮으면 과감히 제외.
🔎 롱테일 키워드
- 정의: 검색량은 적지만, 구체적이고 구매 전환율이 높은 키워드 (ex: “vegan face moisturizer for sensitive skin”).
- 찾는 방법: CSV에서 Search Volume이 1,000~3,000 정도지만, Competing Products 수가 상대적으로 적은 키워드.
Title Density(타이틀에 직접 들어간 경쟁사 수)도 5 이하라면 기회 있음.
- 활용:
광고에서 Broad / Phrase 매칭으로 넣어두면 CPC를 낮추면서 틈새 수요 잡을 수 있음.
리스팅 최적화 시 Bullet Point, A+ Description 등에 녹여두면 자연검색 유입을 기대할 수 있음.
📌 실제 워크플로우 예시 (CSV → 광고전략)
- Cerebro CSV 불러오기 → Search Volume, Position Rank, Competing Products 기준으로 1차 필터링.
- 피벗 테이블이나 조건부 필터를 걸어 “Ranking Competitors ≥ 3” 인 키워드를 추출 → 공통 키워드.
- Keyword 열에서 브랜드명 필터 → 브랜드 특화 키워드.
- Search Volume 1,000~3,000 & Competing Products < 20,000 키워드 추출 → 롱테일 키워드.
- 이렇게 분류한 3개 키워드 그룹을 광고 캠페인 구조(Exact / Phrase / Broad)와 매칭.
👉 즉, “추출 & 그룹화” 단계는 그냥 키워드를 모으는 게 아니라, 데이터 기반으로 어디에 돈을 쓸지 / 어디에 SEO에 넣을지 / 어디를 버릴지 전략적으로 나누는 거예요.
5. 실무 적용 포인트
Cerebro로 뽑은 키워드는 단순히 리스트 저장이 목적이 아닙니다.
👉 반드시 실행 전략으로 연결해야 합니다.
1. 리스트 → PPC 캠페인 적용
• 공통 키워드 = 자동 캠페인 + 브로드 매치
• 틈새 롱테일 키워드 = 정확 매치 + 낮은 입찰가
2. 상품 상세페이지 최적화
• 상위 검색량 키워드는 제목, 불릿포인트, 설명, A+ 콘텐츠에 반영
• 롱테일 키워드는 백엔드 키워드로 활용
3. 시장 트렌드 파악
• 경쟁사가 새로 잡은 키워드를 추적 → 시즌성/트렌드 변화 확인
• 예: “summer sunscreen” 같은 키워드가 급상승 중이라면 → 우리도 광고 예산 배분
6. 정리
Helium10 Cerebro는 아마존 셀러라면 반드시 써야 하는 핵심 툴입니다.
Black Box/Xray로 “무슨 제품을 할지”를 골랐다면,
Cerebro는 “그 제품을 어떻게 키워낼지”를 알려주는 단계예요.
✅ 핵심 요약:
• 경쟁사 ASIN 입력 → 공통/특화 키워드 뽑기
• 검색량·경쟁 강도 기준으로 필터링
• 광고 전략 + 상세페이지 최적화에 바로 활용
👉 이렇게만 해도 “묻지마 광고” 대신, 데이터 기반 광고/SEO가 가능해집니다.
💡 다음 편(4편)에서는 Magnet vs Cerebro 비교 → 신규 키워드 발굴을 다룰 예정입니다.
Black Box, Xray, Cerebro가 연결되는 그림이 점점 그려질 거예요. 🚀
'해외마켓 > Helium10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Helium10 블로그 2편] Black Box로 아마존 니치 제품 발굴하기 (4) | 2025.08.18 |
---|---|
[Helium10 블로그 1편] 아마존 셀러를 위한 Helium10 계정 연결 & Xray 세팅 완전 가이드 (5) | 2025.08.17 |